"There must be no barriers to freedom of inquiry. There is no place for dogma in science. The scientist is free, and must be free to ask any question, to doubt any assertion, to seek for any evidence, to correct any errors. Our political life is also predicated on openness. We know that the only way to avoid error is to detect it and that the only way to detect it is be free to inquire. And we know that as long as men are free to ask what they must, free to say what they think, free to think what they will, freedom can never be lost, and science can never regress."
J. Robert Oppenheimer
Theoretical Physicist

PROLOGUE

 

REALITY DISTORTION

 

By Jason Kim

 

Wednesday, March 6, 2019. Seoul, South Korea.

 

Note.

Though the stories could be shamelessly corny, my future article will be about my thoughts on my everyday life and my thoughts about becoming a professional. It is accumulative with a single posting, and may be updated with new ideas in the future, but it will never be deleted.

 

  Some people say that my generation, so-called millennials, is problematic. As a group millennials are often accused of being entitled: “well educated but unskilled; significantly lacking patience, a victim of wrong parenting, or a beneficiary of unprecedented connectivity from modern technologies thanks to engagements of social media and cell phones”. In addition, naysayers describes that millennials are lacking in practice with the skill-set for developing deep and slow relationships. What is worse, they are typically unable to deal with significant stress, and when it starts to show in their lives they seek instant gratification, perpetuating a dopamine addiction, rather than turning to the steady stream of little innocuous interactions that make up real life.

 

  Historically, it seems that the argument is not entirely new. Socrates (469–399 B.C.) once told us “The children now love luxury; they have bad manners, contempt for authority; they show disrespect for elders and love chatter in place of exercise. Children are now tyrants, not the servants of their households. They no longer rise when elders enter the room. They contradict their parents, chatter before company, gobble up dainties at the table, cross their legs, and tyrannize their teachers.” and we find many other same genre from the past. Visit here http://languagelog.ldc.upenn.edu/nll/?p=2177 for further inform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one’s’ life definitely requires a slow, meandering, challenging, and complicated processes, in which a practitioner needs to aim for the giant mountain itself, not the summit. Too many of us who start such a journey, the majority doing so at present being millennials, fail due to many reasons but mainly because of failure in managing mental stress or depression.

 

  So, if the mystery of Kids Today is historically an old issue, what about those people who have been in the same concern as I did?  I do not pretend to understand the universe; the “kids today” history is long one; I cannot list the complete figure. I can only divine by conscience. From what I see I am sure the mystery perpetuates same cycle and only the enlightened breaks the loop and bends toward justified freedom and truth.

  As I have mentioned earlier, the complexity of our life have been steadily expanding best attributed to unprecedented connectivity and its modes – it simply exceeds physical dimensions.   The logo below represents Chernin Entertainment, an american film production company launched in late June 2009.

 Chernin Entertainment, 2009

 

  Sometimes the same shape is interpreted in a totally different meaning.  In such a high complexity of one’s life, the more we understand its facets, the better we have chances to break the loop.  My aim here is to share ideas, even full of contradictions, and to help myself and other who seek for the better.

 

  Over time self-help book has become less acceptable to argue that my beliefs and ways of life are better than yours simply because they originates from my religion or my nation  that overpower your nation. It is no longer justifiable to assert your beliefs had you not provided rational reason or empirical evidence behind them or else they will likely be ignored. I demonstrate that the professional life, though I feel a little early, and that these positive outcomes have largely been the product of such discipline.  

 

 

What’s the mentality behind this ?

 

    It is about self-discipline. ‘To live like a pro’ includes so much more than just having a strong sense of work ethics and gaining the social reputation. It is to be necessarily and sufficiently satisfied with followings as well- not only to live purposeful life and embraces unfairness and betrayal of a close friend while living in full potential but also to cultivate mental and physical happiness in our life; to love, to learn how to live together with other creatures. In all likelihood, it shall be accompanied by countless vague and inexpressible human emotions while other emotions such as loyalty, morality, friendship, and love will starts to affect you in and out.

    There is a poem by Ralph Waldo Emerson, a transcendentalist*, “What is success?” To laugh often and much: To win the respect of intelligent people and the affection of children, to earn the appreciation of honest critics and endure the betrayal of false friends; to appreciate beauty, to find the best in others, to leave the world a bit better whether by a healthy child, a garden patch, or a redeemed social condition; to know even one life has breathed easier because you lived. This is to have succeeded.

  * Transcendentalist vs.Intellectualism, I will be covering this later. I might be committing many philosophical contradictions time to time. Sometimes, as I already have done so, I might be quoting Transcendentalism in speaking of a philosophy of Intellectualism. If anything in this world is no perfect and absolute, I would rather accept the contradiction as it is and live in a better way than yesterday to improve them in my own way.

 

  In later time, this blend of my knowledge and wisdom just might server someone in need, even if it is a mess. If so, would not one be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in life?

 

  One day, I was talking about all these ideas with my friend. He said, “If your goal is to share with others anyway, why don’t you start by posting a short stories in social media apps ?” Well, social media apps is truly a tremendous tool that has allowed millennials a myriad of possibilities. By the way, the Renaissance period; the literary revival or cultural innovation of the European civilization from the 14th to the 17th century serves as the foundation of scientific revolution, and it bridged the Middle ages with modern times. It was the period of scientific revolution that became the stepstone of modern physics like quantum mechanics, and it was the time when many great works were pouring out. How was the end? The renaissance era has just end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due to the suppressed freedom of artists making it difficult to keep the originality of the Renaissance spirit. Having said so, how much time would it take for me to lose the originality of these writing had I write in a space full of addiction to the instant gratification ? As one friend puts, “social media is a vanity factory made to make us all feel inadequate.” So, I decided to write and publish in a classic way. Someone is to visit this place, as if we go to library or buy physically formatted books not a copy of ebook.

 

  Lastly, I’m not saying others are wrong. Some people should be condemned and punished, but as far as a person’s life is concerned, the life itself is not wrong. In fact, there only exist lives with different standards. I hope you will notify me anything with incorrect information. Other than that, my opinions or thoughts are not wrong but they are different from those who oppose me. I welcome criticism, but I reject any disrespect or throwing shades at me. We surely have many problems left to solve, and the direction of this effort will hopefully continue upward we are by no means at the consistency.

 

  So, What is coming next? I plan to write about loyalty. In the American drama “Suits,” the main character Harvey Specter said of loyalty, “Loyalty is two-way street. If I asking for it from you, you are getting it from me.”  The issue of trust and loyalty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when it comes to build an relationship. In speaking of loyalty, I’m not talking about one-way relationship between bosses and subordinates. Rather, what I refer to “being loyal” is more closer to the faith that we share common values and acknowledge we are fundamentally different but push boundaries together towards the better, even though we fight each other. This world is no longer a world where one elite feeds 100 people. Rather, one elite group lead the other group in upward leveling. My experience in 2015 taught me that loyalty does matter in achieving impossible and that is what makes all the differences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output. So, first and foremost, I will be writing about loyalty as the number one virtue that every professional should have.

 

 

 

 LOYALTY


By Jason Kim


Wednesday, April 10, 2019. Seoul, South Korea.

 

 

  Today, I saw a kid fell down on the street and crying alone as his entire world has collapsed. As I walked toward the child, I was whispering to him and myself. “It’s alright. You may fall down or stumble. And, you can rise up again. Fall down nine times, Get up ten times. Neither pain nor laugh isn’t permanent.” 


  When you think of loyalty, what comes to your mind first? I personally think of “faith” first. Well, some of you may well think it is too obvious. I will start this section with what are my opinions on the birth and death of one’s loyalty.
 


 

DUALITY & FREEWILL

 

By Jason Kim

“Learn from yesterday, live for today, hope for tomorrow.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stop questioning.”
Albert Einstein
Theoretical Physicist

    Albert Einstein 인용으로 글을 시작하며 많은 생각이 떠오른다. 세상 모든 일에는 대부분 Duality 존재한다. 세상 만물의 이치를 이해하려는 연장선의 최전선에 있는 양자역학 또한 만물의 이중성 (i.e. 파동성 입자성) 다루지 않는가? 중에 가장 우리의 현실을 압박하고 마음의 평화를 어지럽히는 것은 인간관계에서의 이중성일 것이다. 분명 Advising Mentoring 에도 이중성이 존재한다. Mentee 입장에서는 이중성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Advising 또는 mentoring (‘advising’ 통일한다) 성공여부가 판단될 것이다. 개인에 따라 느껴지는 Duality 다르겠지만, 대부분 discrepancy 아닐까 감히 생각된다. 가령, ‘당신의 자유를 존중하며, 의견을 반영하겠다.’ 또는당신의 능력과 성과를 존중하며, 협력을 하겠다 다음과 같이 종종 바뀔 것이다.

 ‘당신은 Advising 받고 있기 때문에, 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또는능력이 뛰어 나다면, 당신은 Advising 받고 있는 것인가?’. 이중성은 경중에 따라 많은 부작용을 낳기 쉽다. Mentee 의 입장에서 내 생각을 써보면 이러하다. 

 

 

Advising / Mentoring 시작되기 전에

 

    벼랑 끝에 있는 사람은 Mentoring  구할 때 아주 신중해야 한다. Duality 항상 있다.  Advising 관계에서 서로는 후진/ 전진/ 좌회전/우회전이 모두 가능한 상황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Margin of error 너무나 작기 때문에, duality 에서 발생하는 discrepancy 서로에게 해가 있다. 자칫 잘못 서로의 신뢰가 순식간에 깨지거나, 잘못된 길로 들어설 있을 것이다. 세상 어느 누구도 살아가는데 Advisor 필요하다. 스스로의 상태가 벼랑 까지 가도록 놔두지 말고, 평소에 자주 스스로 상황을 확인해보고, 보완점을 찾고  필요한 경우 문제가 커지기 전에 도움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서로의 의지에 부합하여 Advising Mentoring 시작된다. 서로의 의지가 부합할 작용하는 요소에는 서로에 작용하는 매력이 가장 크지 않을까? 매력에는 다양한 기준이 있고, 가능하면 모든 기준에 맞는 상대가 나타나길 누구나 바라고 있다. 하지만 나의 매력을 누군가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너무나 힘들고, 반대로 누군가가 가진 매력을 알아채는 또한 힘들다. 겉으로 보여지는 성과만이 우리가 있는 매력의 전부라고 판단하기 쉽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상대를 판단할 , 그런 겉모습에 가장 비중을 두기도 한다. 필요로 의해 한참을 찾고 있는 입장에서는, 그만한 보상 회로가 없는 또한 사실이다. 또한 때는 성과가 Advisor 또는 멘토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다. 몇 Advisor 또는 Mentor 거치고 결국 현실에 부딪히면 모두를 깨닫는다. 나도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닫게 되었다. 내가 성과의 가치를 너무 크게 생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겉으로 보여지는 성과보다 중요한 것이 많다는 것을 언젠가 느끼게 되었다.

    이때부터 성과와 매력을 판단하는 나의 기준은 바뀌었고, 또한 다른 사람의 기준이 아닌, 내가 생각하는 진짜 가치와 매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리고 나와 같은 생각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누군가에게 성과를 제대로 어필한다면, 사람의 마음을 있을까? 그렇다고 수는 없다. 사람이 생각하는 매력의 기준과, 내가 가진 매력이 일치해야만 한다. 겉모습이 전부인 사람에게 아무리 당신의 가치를 어필한다해도, 본질적 부분이 중요한 사람에게 아무리 겉모습을 보여준다 해도, 그것은 의미가 없다. 외면적 성과야 겉으로 드러나니 굳이 드러내려 하지 않아도 있다. 하지만 본질적 매력을 드러내기는 쉽지 않다. 가장 좋은 방법은, 내면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행동을 통해 보여주고, 태도를 통해 보여주어야 한다. 이런 행동이나 태도가 일관성을 띄게 되면, 나의 내면적인 가치관이 남들에게 보이게 되고, 다른 사람이 내가 어떤 사람인지 판단할 있게 된다. 어떤 일이든 자신감 있게 나서고 당당하게 나서면 나의 자신감을 어필할 있다. 행동에 일관성을 보이려면 무엇보다 가치관이 뚜렷하여야 것이다. 정말 자신이 추구하는, 좋아하는 무언가가 있다면 그것을 주위사람들이 모르긴 어렵다. 무엇보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은 매력이 되기 힘들다. 자신만의 매력을 가지기 위해선 그만큼 많은 노력과 자아 성찰이 필요하다. 이런 자신에 대한 고민과 성찰은 나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며, 나를 완성하는 과정이고, 다른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것이다. 그리고 결국엔 틀림없이 당신의 가치를 발견하는 사람을 만날 거라 확신한다. 그러니, 너무 성과에 집착하여 본질을 놓치는 경우는 없어야겠다.

 

 

    자극과 반응사이에는 선택할 있는 자유가 있다. 필요한 자극에 필요한 반응만 하면 Advising 목적은 달성한다. Duality 존재 밖에 없다. Duality 존재하냐? 따지는 것은 글의 목적이 아닐 뿐더러, 지식이 너무 짧다. 다만, 존엄성을 헤치지 않고, 나의 삶의 목적과 이유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게 오는 자극은 걸러서 듣고, 반응 또한 걸러서 하면 된다는 것이다. 어렵게 들릴지 모른다.

    조금 이야기를 바꾸어 보자. 우리는 살아가면서 환경적 결정론에 너무 매몰되는 경우가 많다. 일견 가능하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렇게 생각한다면, 아무것도 해결 없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을 것이다. 지식의 접근은 어느때보다 쉬워졌다. 분명, 내가 있는 일이 적어도 하나는 있다. 여기서 자극이라는 것은 더운 날씨가 있고 주변의 구조가 있다. 하지만, 그런 것이 있다 할지라도 나는 개인으로서 자유의지를 가지고 선택할 있는 것인데, 모든 것이 남의 탓이라고 여기거나 바꿀 없는 것이라 한다면, 그것은 없는 것이다. 선택할 있는 내가 있고, 그런 상황 가운데에서도 뭔가 바꿀 있는 그런 존재가 자신 이어야 되는데, 그런 사실을 부정하는 것과 같다. 과정 가운데 모든 것을 뚫고 나가는 사람이 있고, 가운데 내가 있는 것이 분명 있다. 모든 것을 뚫고, 나의 자유의지를 믿고 흔들리지 않고 나아갈 있는 거의 유일한 길은 내가 하는 일의 진정한 의미 (본질) 무엇이고, 내가 일을 하는지 깨닫는 것이다. 내가 사는 삶과 내가 하는 공부의 이유와 의미를 찾으면, 우리는 견딜 수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가 부모님이 것이다. 그래서 수시로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한다. 내가 일을하고 있는 것인가? 그러면 무기력과 이중성을 만났을 뚫고 나갈 힘을 얻을 있고 극복할 있을 것이다. 존엄성을 해치지 않을 선택 앞에 두려움을 최소화 하고 용기 있게 있다. 스스로의 이유와 의미를 한번 생각하면, 자극과 반응의 선택은 나에게 훨씬 쉬워진다. 본질적으로 생각했을 , 내게 의미 없는 자극에는 내가 반응을 하지 않으면 된다. 내가 생각해서 지금 의미 없는 자극이 실제로 필요한 것이면 어찌하냐? , 어차피 내가 지금 깨닫지 못한 본질이라면, 아무리 자극이 들어와도 결과값은 0 이다. 뒤늦게 깨닫게 되면, 그때 새로운 Advising 이나 Mentoring 통해 자극을 새롭게 얻고, 차원 높은 반응을 선택하면 그만인 것이다. 내가 선택한 반응에 힘들 것이란 것에 크게 두려워 하지 말아라. 이유가 있다면 힘든 것은 것이 아니게 된다이유목적 찾아 나가는 것이 우리가 삶을 열심히 살아가는 이유이지 않을까? 그리고, 평생 스스로를 돌아보고 성찰해 나가야 하는 이유이지 않을까?

 

 

    모든 만남에는 이유가 있다. 지금까지의 삶을 되돌아 보라. 당신의 삶에 나타나는 사람은 어떤 이유가 있어서 오는 사람, 계절에만 등장하는 사람, 혹은 평생 동안 만남을 갖는 사람이 있다. 어디에 속하는지 알면, 저마다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할지 알게 것이다. 누군가가 이유가 있어 당신의 삶에 나타났다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당신이 드러내 보인 필요를 채워 주기 위함이다. 그들은 당신이 어려움을 통과하도록 돕고, 길을 안내하고 지지해 주려고 나타난 것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그들은 당신이 그들을 필요로 하는 이유 때문에 그곳에 나타난 것이다. 당신 잘못이 전혀 없는데도, 혹은 좋지 않은 시기에, 관례를 끝낼 같은 말이나 행동을 하기도 것이다.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것은 우리의 필요가 충족 되었다는 것이다. 우리가 바라던 것이 채워졌다는 것이고, 그래서 그들의 역할이 끝났다는 것이다. 계절 동안 삶에 들어오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당신에게 용기도 것이고, 슬픔도 것이고, 당신이 한번도 경험 없는 일을 가르쳐 줄지도 모른다. 다만 계절 동안만. 평생의 관계는 당신에게 평생의 배움을 것이다. 당신이 일은 배움을 받아들이고, 관계에서 배운 것을 다른 모든 관계와 삶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것이 이유가 있는 만남이든, 계절 동안의 만남이든, 생애를 관통하는 만남이든, 그저 삶에 나타나 것에 감사하고 앞으로 나아가면 된다.

 

“He who has a why to live can bear almost any how”
Friedrich Wilhelm Nietzsche
Philosopher

 

Philosophy in Knowledge, Philosophy in Science. 

By Jason Kim

    누군가가 이룬 성과를 따라 하는데 집중하며 생겨난 문제 또는, 무언가를 좇아가서는..변화를 이끈 사람이 그은 한계를 넘어서기 어렵다는데 있다지식은 쉽게 모방하고 따라 할수 있지만, 의식과 철학을 통해 얻어낸 탁월함은 그렇지 않다. 자신만의 성장을 상상하고 이를 실현해 나가는 끊임없는 도전이 있어야만 한다. 과정을 통해 생겨나는 의식과 철학* 이 진정한 창조를 만들어 있다.

    * 철학: 지식의 성장과 전달의 과정에도 철학이 있고, 과학에도 철학이 있다. 칼 포퍼의 ‘반증 가능성 (Falsifiability)’ 와  토마스 쿤의 ‘논리 실증 주의 (Logical Positivism)’. 토마스 쿤은 ‘Paradigm’ 으로 일컬어지는 ‘정상과학 (Normal Science)’ 의 범주를 정하고, 과학의 지식은 객관적이라기 보다는 정상과학, 즉 현존하는 패러다임의 통제안에서 과학적 탐구가 이루어 진다고 말한다. 대개의 과학자들은 기존에 존재하는 패러다임에 대해서 의심을 하지 않은채 연구에 매진하며, 중립적 관찰을 통하여 발견의 합리성에 도달한다는 논리적 실증주의이다.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풀리지 않는 문제가 누적되면, 위기에 처하게 되고 결국 현재의 패러다임이 다른 패러다임으로 교체되는 ‘Paradigm Shift’ 가 일어나며, 과학의 지식은 진보한다고 주장한다. 칼 포퍼는 ‘어떤 과학이론이 완전히 반증되면, 이론의 지위를 잃는다’ 로 시작한다. 반증 가능성이 없는 완전한 이론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한다면 그것은 진리(Truth) 이다. ‘반증 가능성’을 염두해 둠으로 과학의 확신과 독단을 경계하고, 다양한 반증 사례를 맞이하며, 견디고 다듬어지며 더 완전한 형태의 지식으로 나아가는것이 과학적 지식의 발전이라 주장한다. 토마스 쿤은 ‘정상과학’ 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사이비 과학으로 규정하였다. 달리, 칼 포퍼의 ‘반증 가능성’을 염두해 두면, 현재 널리 퍼진 패러다임에서 벗어난 이론일지라도 반증 가능성이 있으면, 그 또한 이론으로의 지위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아무 과학적 관찰이 이론의 지위를 갖지는 않는다. 검증을 거쳐야 하며, 이론의 전에는 가설(Hypothesis) 로 남는다. 

     당연히 과학자 마다 다른 논문 또는 지식을 바라보는 관점과 판단이 다르겠지만, 짧은 시간 동안 경험한 생물학에서 만큼은 칼 포퍼의 ‘반증 가능성’이 좀더 많은 역할을 하는 듯하다. 아직 본인 또한 과학의 ‘철학’ 이라는게 불분명하여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지만, 한가지 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많은 경우 이론이 예측한 현상을 관찰하여 일반화되어온 물리학 지식 발전의 길과 달리, 생물학에서 결정적인 발견은 기술적, 도구적 제약을 많이 받는다. 현미경으로 시작해서, 새로운 관찰이 이루어졌고, 관찰한 결과의 정체를 실험과 이론이 설명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생물학에서 경우, 관찰자 또는 도구 마다 관찰의 결과가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많은 경우 정량적 분석이 기술적으로 제약을 받을때가 많다. 또 한, 대표적으로 세포의 경우 본질적으로 3D Process 인데 반해, 기술적/도구적 제약으로 인해 여전히 많은 실험들이 2D in-vitro 에서 행하여 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패러다임의 경계가 매우 애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몇몇 아주 구체적인 논문의 제목과 달리 대부분의 경우 반증 가능성의 범위가 크다. (*반증 가능성의 크고 작음은, 쉽게 반증되는 것의 개념이 아니라 이론의 적용 범위의 개념으로 보는것이 맞는듯 하다.) 

    그런 이유로, 어떤 관찰도 쉽게 비난 받을 수 없고, 열린 생각으로 반증의 논리를 펼쳐야 한다. 개인적으로, 생물학에서 지식의 모습은 전자공학/재료공학 분야에서의 과학적 지식발전의 양상과 매우 다른 모습으로 느껴진다. 

    하지만, 그렇게 지식의 형태가 달라 보이는 생물학에서도 똑같이 적용되는 사실이 하나 있다. 과학(Science) 은 기술(Technology) 그 이상이다. 과학적 개념을 사용하는 기술은 아무리 시간이 오래되어도, 변치 않고 언제든 쓸 수있다. 반면에, 과학은 본질 자체가 ‘진화(evolutionary)’ 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에서 지속적으로 존재의 가치를 증명 해야지만, 살아남을 수 있고 진화 할 수있다. 아이러니 하게도, 현재의 과학이 계속 살아남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기술’ 이다. 과학자들은 현재의 ‘기술’을 사용하여, 과학을 지속적으로 증명해야하고, 그러한 고된 노력속에 과학은 진보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진정한 창조를 만들어 내려면….  의식과 철학을 발전 시키려면…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 과학을 통해서 진정 원하는 바는 무엇인가? 

    업의 본질을 생각해 본다면, 그리고 길게 보았을때, 지금 필요한것이 과연 무엇인가? 

Finite Game 과 Infinite Game 의 경계선에서 고민하는 느낌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Finite_and_Infinite_Games

 

“March away from the sound of the guns. Observe the fray from a distance, and while you are at it, consider making your own fray" ~ during his book, "Letters to a Young Scientist"
Edward O. Wilson
Biologist, the world's leading authority on ants.

나이 들면 나만큼 대단한 사람이 없으며,

늙고 나면 나보다 더 못한 사람이 없다.

돈에 맞춰 일하면 직업이고,

돈을 넘어 일하면 소명이다.

직업으로 일하면 월급을 받고,

소명으로 일하면 선물을 받는다.

칭찬에 익숙하면 비난에 마음이 흔들리고,

대접에 익숙하면 푸대접에 마음이 상한다.

문제는 익숙해져서 길들여진 내 마음이다.

집은 좁아도 같이 살 수 있지만,

사람 속이 좁으면 같이 못 산다.

내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에 도전하지 않으면,

내 힘으로 갈 수 없는 곳에 이를 수 없다.

사실 나를 넘어서야 이곳을 떠나고,

나를 이겨내야 그곳에 이른다.

갈 만큼 갔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얼마나 더 갈 수 있는지 아무도 모르고,

참을 만큼 참았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얼마나 더 참을 수 있는지 누구도 모른다.

지옥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을 미워하면 된다.

천국을 만드는 방법도 간단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을 사랑하면 된다.

모든 것이 다 가까이에서 시작된다.

상처를 받을 것인지 말 것인지 내가 결정한다.

또 상처를 키울 것인지 말 것인지도 내가 결정한다. 

그 사람의 행동은 어쩔 수 없지만 반응은 언제나 내 몫이다.

산고를 겪어야 새 생명이 태어나고,

꽃샘추위를 겪어야 봄이 오며,

어둠이 지나야 새벽이 온다.

거칠게 말할수록 거칠어지고,

음란하게 말할수록 음란해지며,

사납게 말할수록 사나워진다.

결국 모든 것이 나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나를 다스려야 뜻을 이룬다.

모든것은 내 자신에 달려 있다.

 

-백범 김구-

Close Menu